‘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2011)는 대만을 대표하는 청춘 로맨스 영화로, 90년대생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학창 시절의 추억과 첫사랑의 설렘을 담고 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와 감성적인 연출로 대만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등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영화는 구파도(九把刀, Giddens Ko) 작가의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대만 학창 시절을 배경으로 한다. 유쾌한 친구들, 풋풋한 연애 감정, 어른이 되어 깨닫게 되는 첫사랑의 의미를 담아 많은 관객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1.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줄거리
이 영화는 한 남자가 과거를 회상하며 첫사랑의 설렘과 아쉬움을 담담하게 풀어가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주인공 커징텅(柯景騰, 천옌시)은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며 말썽을 피우는 장난꾸러기 학생이다.
한편, 반에서 가장 우등생이자 선생님들의 총애를 받는 션자이(沈佳宜, 미셸 천)는 커징텅과는 정반대 성향을 가진 인물이다. 어느 날, 선생님은 커징텅이 학습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션자이에게 그를 지도하는 역할을 맡긴다.
커징텅과 션자이는 점점 가까워지며, 서로 장난을 주고받고, 작은 다툼도 하면서 미묘한 감정을 쌓아간다. 커징텅은 션자이를 좋아하면서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어설프게 장난을 치거나 괜히 투정을 부리는 방식으로 관심을 표현한다. 반면 션자이는 커징텅의 진심을 알면서도 쉽게 다가서지 못한다.
졸업 후, 대학 생활을 시작한 두 사람은 여전히 연락을 이어가지만, 결국 각자의 길을 가게 된다. 성인이 된 커징텅은 여전히 션자이를 좋아하지만, 고백하지 못한 채 시간은 흐른다. 그리고 마침내, 커징텅은 션자이의 결혼식에서 그녀를 마지막으로 마주하게 된다.
2. 90년대생이 공감하는 감성 포인트
① 첫사랑의 설렘과 아픔
첫사랑은 많은 이들에게 두근거림과 동시에 가슴 아픈 기억으로 남는다. 커징텅은 션자이를 좋아하면서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고, 그 마음을 알면서도 멀어질 수밖에 없었던 션자이. 이 둘의 관계는 많은 이들이 경험했을 법한 첫사랑의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② 90년대 학창 시절의 추억
- 공중전화 사용: 휴대전화가 없던 시절, 좋아하는 사람과 연락하기 위해 공중전화를 이용했던 경험은 그 시대를 살았던 이들에게 익숙한 장면이다.
- 쪽지 편지 주고받기: 친구들을 통해 몰래 주고받던 쪽지 편지는 영화 속에서도 중요한 소통 방식으로 등장한다.
- MP3와 CD 플레이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담아 듣던 시절을 떠올리게 만든다.
③ 유쾌한 친구들과의 우정
커징텅과 친구들의 장난기 넘치는 모습은 현실적인 학창 시절을 그려내면서도,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며 유치한 장난을 치고, 서로를 놀리면서도 끈끈한 우정을 나누는 모습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법한 추억을 떠올리게 만든다.
3. 결말 해석: 현실적인 사랑 이야기
이 영화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션자이의 결혼식에서 커징텅이 그녀를 축하해 주는 장면이다.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해피엔딩과 달리, 커징텅과 션자이는 결국 연인이 되지 못하고 각자의 길을 걷게 된다. 커징텅은 성인이 되어도 션자이를 마음에 품고 있었지만, 끝내 그녀와 함께하지 못한다.
이 결말이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는, 현실에서 첫사랑은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지만, 항상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는 이별을 슬프게만 그리지 않는다.
커징텅은 션자이를 잊지 못했지만, 그녀의 결혼을 진심으로 축하할 수 있을 만큼 성장했다. 이는 첫사랑의 아쉬움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며 성숙해지는 과정과 추억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는 과정을 의미한다.
결론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는 단순한 로맨스 영화가 아니라, 학창 시절의 추억과 첫사랑의 감정을 섬세하게 그린 작품이다. 영화 속 커징텅과 션자이의 이야기는 많은 90년대생들에게 "나도 저런 적 있었는데..."라는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과거를 떠올리게 만든다.
만약 아직 이 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학창 시절의 감성을 되살릴 수 있는 기회로 삼아보는 건 어떨까? 그리고 이미 본 사람이라면, 다시 한 번 영화를 감상하며 그 시절의 감정을 되새겨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